파킹메모는 주차 생활을 도와주는 편리한 앱입니다.

파킹메모는 주차 생활을 도와주는 편리한 앱입니다.
당신에게 딱 맞는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세요
XML과 JSON을 비교한 수많은 글은 JSON이 XML보다 많은 강점을 갖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XML은 나름의 비교 불가한 강점을 갖고 있으며 이 부분이 간과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JSON의 비교 우위를 판단할 때 상대적으로 ‘더 적은 데이터의 양’과 상대적으로 ‘더 높은 처리 성능’ 등의 수치적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XML과 JSON을 비교하는 많은 글에서 간과하고 있지만 우리가 놓치고 있는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데이터의 무결성 입니다.
위험없는 시뮬레이션 투자
데이터베이스 리플리케이션(Replication)은 실시간 복제본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이 되는 서버를 마스터 서버라 하고, 마스터 서버와 동일한 내용을 갖는 또 다른 서버를 ‘리플리카(Replica)’라 합니다.
CDN은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어로, 한글로는 콘텐츠 배포망으로 번역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CDN이 생겨난 이유에 대하여, 그 진화 단계를 하나씩 소개하는 방식으로 설명할 것이며, AWS CloudFront(아마존 클라우드 프론트), Akamai CDN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서버 사이드 프로그래밍 언어인 PHP. PHP의 꾸준한 인기는 강력하고 다양한 PHP 프레임워크들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이었습니다. PHP 개발자는 최고의 PHP 프레임워크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는 더 복잡하고 더 보안성이 우수하고 균형잡힌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PHP 프레임워크는 그 자체의 크기, 동작 시 차지하는 메모리의 양, 동작 성능, 개발 편의성, 기능, 그리고 그것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숙련도 요구 수준도 다릅니다. 2018년을 빛낸 최고의 PHP 프레임워크 10개에 대한 각각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LAMP는 Linux, Apache, MySQL, PHP(Perl, Python)의 머릿글자를 딴 약어로, 리눅스 기반 웹호스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소스 서버 소프트웨어 조합입니다. 이러한 램프 스택에 포함된 PHP는 잘 동작하며, 서버 사이드 언어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냅니다. 하지만 이 조합이 PHP 어플리케이션이 최고의 성능으로 동작하는데 있어 최선은 아닙니다.
서버 트래픽은 항시 변화하며, 서버 트래픽에 따라 각종 서버 리소스의 물리적 사용 가능 용량은 계속 변화합니다. 리소스 부족 시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오동작을 일으키고 서비스 전체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에서 동작하는 다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100% 항상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보장할 수는 없는 것이며, 서버 운영체제를 포함하여 어떠한 이유로든 서비스 장애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루 24시간, 일주일에 7일, 매 순간 서버의 리소스 상태를 감시하고 트래픽 과잉, 메모리 부족, 디스크 부족 등 위험 상태에 도달하면 서버 관리자에게 메일 등으로 알려주어 사전/사후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포스트그레스큐엘은 가장 진보한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입니다. PostgreSQL은 확장성 및 표준성을 강조하는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임에도 불구하고 MySQL/MariaDB와는 달리 엔터프라이즈급의 성능과 기능, 보안성을 제공하며 소규모 서비스부터 대규모 트래픽이 발생하는 대형 서비스까지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아키텍쳐를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