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s for AWS Cloud Migration
AWS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과정
온프레미스에서 아마존 클라우드로 고객의 기존 서버 시스템을 이전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Analysis
① 분석
- 고객 서비스의 현재 구성 파악
- 현재 서버 시스템 구성 파악
- 마이그레이션 항목 파악
- 개선 사항 파악
- 사용할 AWS 제품 선정
- 클라우드형 서버 시스템 설계
Configuration
② 구성
- 클라우드내 서버 시스템 구성
- AWS 리소스 생성
- AWS 제품별 초기 설정
- AWS 제품별 기초 테스트
- 클라우드내 서버 시스템 수정
Migration
③ 이전
- 서버 어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 바이너리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DNS 정보 마이그레이션
Verification
④ 확인
- 서버 어플리케이션 동작 확인
- 데이터 억세스 확인
- 서버 억세스 보안 설정
- 서버 모니터링/알람 설정
- 서비스 트래픽 테스트
- 기존 서버 시스템 중지
- 데이터 2차 마이그레이션
- 클라우드로 완전 전환 후 서비스 재개
Server Application Migration
서버 어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 서버 어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이란 기존 서버 시스템에 있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서버로 옮겨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서버 어플리케이션의 기존 코드를 그대로 옮겨오거나 빌드만 새로 하여 적용하는 경우 작업량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고객이 클라우드의 잇점을 최대화 하고자 하는 경우 고객이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내의 새로운 서버 시스템에서, 고객이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AWS와 연동시키고자 할 때, 실질적인 개발자 레벨의 기술적 조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쿠빌은 풀스텍 개발사로서, 다수의 프로젝트에서 AWS에 자사 제품을 연동시켜 사용한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쿠빌은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고객이 AWS에 맞게 제품을 수정하실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립니다.
Binary Data Migration
바이너리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바이너리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란 기존 서버 시스템에 있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옮겨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다수의 웹 서버가 공유하는 공용 스토리지에 들어가는 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데이터들이 바이너리 데이터의 종류입니다.
- 바이너리 데이터는 AWS의 S3(Simple Storage Service)에 저장되면 가장 효과적입니다.
- 데이터가 빈번하게 억세스되거나 고속으로 다운로드 되어야 하는 경우, AWS에서 제공하는 CDN(Content Distribution Network)인 CloudFront와 S3를 연동하면 가장 효과적입니다.
-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 위와 같은 아마존 제품들 적용 시, 쿠빌은 고객님께 어떻게 자료를 업로드하거나 삭제 또는 갱신하고, 업로드된 자료에 억세스 하는지 알려드립니다.
Database Data Migration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란 기존 서버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옮겨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쿠빌은 기본적으로 AWS의 RDS(Relational Database System)에서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권장합니다. RDS에는 다중 AZ나 읽기전용 복제본과 같은, 직접 구성하기 어려운 설정 작업이 매우 간소화되어 있으며, 백업/복구 기능 등 RDS만의 많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용 MySQL이나 PostgreSQL과 같은, 웹 서버와 같은 머신에서 돌아가는 간단한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RDS를 이용하지 않고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RDS에서 지원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경우, 고객이 서버에 콘솔로 접속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이때 데이터 백업/복구 등와 같은 RDS에서 쉽게 이용 가능한 기능들은 모두 직접 처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