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Cloud Managed Service?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란?
-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는 고객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에 대한 일상적인 IT 관리 업무를 대신하여 진행하고, 고객 사업 운영의 일부분을 자동화하고 강화하기 위한 기술적인 지원을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 사내 IT 부서에서 클라우드 환경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유지하기 위한 기술을 보유하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그러한 경우, 고객은 클라우드의 보안/컴퓨팅/스토리지/네트워크운영/어플리케이션스택 등의 관리 업무를 외부의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업체에 맡깁니다.
-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 업체는 고객의 IT 요구사항에 따라 모니터링/보고/성능테스트/백업/복구 등을 처리합니다. 고객이 월 고정비용으로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업체를 고용하는 것이 사내에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전담 팀을 보유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Benefits of Cloud Managed Service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의 도입 효과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로 IT 관리를 외주화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습니다.
비용 절감
클라우드 관리 업무를 외주화하면 네트워크 운용 비용을 조정하고 절감할 수 있게 됩니다.[br][br]사내에 전담 IT 부서를 두는 것은 매월 값비싼 고정 인건비가 들어가며, 간단한 네트워크를 갖춘 중소기업에게는 이런 전담 IT 부서는 종종 불필요한 것입니다.[br][br]쿠빌에 이러한 클라우드 관리 업무를 맡기면 사내 전담 IT 부서 운용에 매년 들어갈 수 있는 비용이 크게 절약됩니다.
예측 가능하며 일관성 있는 월 비용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의 유연성을 통해, 고객은 IT 서비스 비용을 얼마나 지불 할 것인지 결정하고 일관된 월간 청구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br][br]예를 들어 어떤 서비스는 일년 중 특정한 시기에만 고객 유입이 크게 늘어나 서버를 포함한 많은 네트워크 자원이 요구되나 일반적인 시기에는 고객 유입이 보통인 경우가 있으며, 어떤 서비스는 특정한 시간대에만 고객 유입이 늘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br][br]이와 같은 상황에서 클라우드 환경이 아닌 경우 항상 최대치를 감안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해 놓아야 하므로 많은 매시간 최대치의 많은 비용이 들어갑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고객의 요구 사항이나 예산에 맞춤화 하여 IT 비용을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미래를 보장하는 기술
고객이 데이터에 대한 미래를 보장하는 첫 번째 단계는 클라우드 환경으로 데이터를 이전하는 것입니다.[br][br]그 다음 단계는 최신 기술과 서비스를 고객의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입니다.[br][br]사내 IT 직원을 고용하면, 그 IT 기술자는 새로운 기술이나 필수적인 업그레이드가 릴리즈 될 때 회사의 업무 시간을 할애하여 그것에 대해 교육받아야 합니다. 쿠빌은 이미 최신 기술을 관리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맞춤형 또는 통합형 서비스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 업체는 유연하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어떤 업체는 서비스 마다 별도로 가격을 책정하거나 미리 정해진 지불 계획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성장함에 따라 맞춤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br][br]또 다른 업체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므로, 고객은 더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합 솔루션에는 보안, 네트워크 모니터링 또는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셋업 작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AWS Products Supported by Coovil
쿠빌이 지원하는 AWS 제품
아마존 웹 서비스에는 100개 이상의 제품이 있습니다. 쿠빌은 그 중 아래의 제품에 대해서 지원합니다.
네트워킹 및 콘텐츠 전송
- CloudFront (전 세계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 Route 53 (확장 가능한 DNS 및 도메인 이름 등록)
관리 및 통제
- CloudWatch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고객 상대 활동
- Simple Email Service (이메일 송수신 서비스)
Technical Notes
기술 노트
쿠빌에서 서비스 구현 시 사용하는 제반 기반 기술들에 관련한 글 모음입니다.

XML과 JSON을 비교한 수많은 글은 JSON이 XML보다 많은 강점을 갖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XML은 나름의 비교 불가한 강점을 갖고 있으며 이 부분이 간과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JSON의 비교 우위를 판단할 때 상대적으로 ‘더 적은 데이터의 양’과 상대적으로 ‘더 높은 처리 성능’ 등의 수치적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XML과 JSON을 비교하는 많은 글에서 간과하고 있지만 우리가 놓치고 있는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데이터의 무결성 입니다.

데이터베이스 리플리케이션(Replication)은 실시간 복제본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이 되는 서버를 마스터 서버라 하고, 마스터 서버와 동일한 내용을 갖는 또 다른 서버를 ‘리플리카(Replica)’라 합니다.

CDN은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어로, 한글로는 콘텐츠 배포망으로 번역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CDN이 생겨난 이유에 대하여, 그 진화 단계를 하나씩 소개하는 방식으로 설명할 것이며, AWS CloudFront(아마존 클라우드 프론트), Akamai CDN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